옥추경 상권 1 – (라)
② 비사문신여래불 유고(諭誥)
대광광불(大廣光佛) 미륵주세불(彌勒主世佛)이신
統天上帝(통천상제)에 의해
연화 대법회를 갖게 된 것에 대한 축하의 말씀과
미륵 상제님의 또 다른 前生(전생)의 행적을 보이시고 있다.
유가이매친:
大聖 佛祖님을 비롯하여 모든 聖者와
시싱수미루:
나유타 겁(刼)으로 빛나리, 미루 통천상제 대광광불 미륵주세불의 그 큰 광명이
비이치듭낭쩡:
모범이 되고 모든 大聖者(대성자)들 가운데도
또한 內外界天 가운데도 가장 이제 복랑천(覆浪天)이
운지에 비월시:
만유(萬有)의 그 말할 수 없이 또한 말할 수 없는
겨눌 바도 없는 크나큰 대사업의 시도천(試圖天)이 됨을
가 – 무유정정대제:
불조(佛祖), 大聖者를 비롯하여 또한 모든 성자들과 모든 內外界天 玉皇들의
滿場(만장)의 대환영을 하는 가운데 이 성스러운 영광의 대 연화법회(大 蓮花法會)를
가져무비여이:
무상의 영광됨을 축하하오며 또한 그 크나큰 統天上帝(통천상제)의
광구공적(廣救功積)을 길이 찬양하는 바로서
피비예 – 위일니싱:
이 성스럽고 영광스러운 대법회를 나유타 겁(劫)이 다하도록 길이 길이 빛나리이다.
… (중략)
구바라이우월니소주우:
파의옥황(婆依玉皇)의 아들 구바라(丘波羅: 예수)가 聖志를 통달하였기에
학정왕국(虐政王國)의 참화를 당하여
십자가(十字架)에서 마침과 그 참형(慘形)에의 앞뒤의 행한 일들을
에물예싱:
저 星體의 인간들은 받들어 숭배한 것이니라
파이미오훌니:
저 파의옥황의 훈언(訓言)을 잘 봉행함이요 또한 굳은 聖志일 것이라
해바리미야후:
그와는 달리 赫居世 해바리(彗波利: 박혁거세의 天上 명칭)가
저 아미타성에 나가 천 聖朝를 정사(政事)케 함에
모든 국민이 또한 빛나는 자취를 남기여
주이미얄니싱두무:
후세 자손들과 또한 백성들이 공덕을 찬양함은 금할 수 없는 모든 것이
다만 王朝가 오직 佛을 일으켜 國敎를 함이요
구미이실니후:
그러므로 내가 說하고자 하는 바가 그 불심이 강하였던
해바리(彗波利)의 後傳國土에 또한
일비:
구바라(丘波羅: 예수)의 內佛, 外天을 주장 함으로서
빛나는 信心들의 후계 중생들에게 전하고자 함이로다
대중유시디:
지난날 外界天인 彌沙天의 각두성(角斗星)에 한 국토가 있었으니
이 국토에의 법이 타인에게 채무가 있어 갚지 못하면
기미야부저지미시디:
첫째 그 眷屬(권속)을 빚 값으로 여자가 있으면 데려가 애첩으로 삼고
그 다음 장정을 데리고 가서 奴屬(노속)으로 부리나니
또 그 빚이 거금이면 眷屬 一人으로 부족하면 二人, 二人도 부족하면
三人, 三人도 부족하면 四人을 데리고 가서
자기 사용물로 하는 권한을 가지게 되어 있었다.
가위이미얄니처:
그러면 그 잡혀간 眷屬(권속)들은 잡어간 사람의 권한으로
임의 처단을 할 수 있는 국법이 되어 있고
또한 모든 권리가 長者(장자)들에게만 있어서
투이매부불이야성:
가난하고 약한 자들은 마치 소나 개와 같이 취급되어 있으니
참으로 모든 인간의 삶이란 극귀(極貴), 극천(極賤)할 뿐
長者의 권리는 國王도 가히 임의 처리를 못할 정도였다
바파이밀니:
이 국토에는 佛陀(불타)의 위신력(威神力)이 있음을 깨닫지 못하고
국왕과 모든 백성들이 다만 황금만을 주장 삼는 풍습이었으니
다타이미야실니:
佛菩薩(불보살)들이 어언간 한 願力으로도 능히 제도하기엔 힘들게 되어 있었다
두루이정정대재:
또한 옥황의 天政이 그 星體에 미치는 힘이
그 중생들로 하여금 깨달을 수 없고 또 깨닫지 못함이로다
기미밀니호이무등수:
이 때에 마침 한 보살이 이 국토 저 국토로 다니면서
온갖 원(願)을 세워 제도코저 하여 모든 방편으로 제도에 힘쓰고 있었으니
두내시:
때마침 한 국토에서 어느 한 가난한 중생의 사정을 고찰하고
유시이무아투무:
구제를 도모할 때 그 가난한 자의 가정에 부모와 남매 네 식구가 살고 있었으니
누이는 美女였고 동생은 남자로서 11세 되는 가리타(迦利陀)라는 사람이었다
구와 – 마부일내훔:
그 누이는 구하(久河)라는 美女였으니 당년 21세된 절색이었다,
이내들이 살고 있는 가정이 너무도 가난 하였기에 어떤 長者에게 많은 돈의 빚이 있었다
가가이밀니싱두아:
국법에 따라 누이 久河가 長者의 집으로 가게 되었으니
그 구하는 美人이요 또한 권한이 자기에게 있으니 임의 처리할 수 있었다
주이밀니후문두웅:
이 때 장자의 집으로 끌려갈 구하(久河)는 눈물을 흘리고
부모형제간 이별을 하게 되어 울며 슬퍼하고 있었다
구개정정대재이미싱:
가리타가 누이의 슬퍼함을 보고 하나님께 축수하고
불우한 처지를 한탄하고 있으니 차마 그 광경을 볼 수 없었다
대루미야후무둥:
그 때 장자의 하인들이 교자를 가지고 와서
구하를 싣고 갈 모든 준비를 갖추고 있었으니
주지이싱유후:
그 때 그 장자는 타인에게 돈을 빌려주고 돈을 쓴 자의 권속들을 잡아감이 처음이었으나
그 나라의 국법이니 자기도 법에 따라 美女를 데리고 가기를 결심한 것이다.
미비비일나후두:
장자가 생각하기로 내가 오늘 빚 값으로 美女를 데려와
애첩(愛妾)으로 두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고 반가이 맞이할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었다
미비비일나아후두이싱:
그러나 미녀는 장자와의 생각과는 전연 반대였다.
내가 인간으로서 부모의 빚 값에 잡혀갈지언정 남의 애첩 노릇은 안하리라 생각하고
다 – 무물나후:
부모형제를 이별하고 떠나기로 작정한 미녀는 교자에 끌려 올라가고 있었다
깨무기일니후딩:
부모는 눈물을 흘리고 동생 가리타는 목을 놓고 누이를 부르며 울고 있었다
개우:
그 정은 난처하여 하인들도 눈물을 흘리며 동정하고 있었다
마부울니힌디:
그 때 장자가 마음을 조리고 기다리고 있었으나
미녀를 잡으러 간 하인의 행차는 보이지 않는다. 長者는 기다리다 못해
비미비:
구하의 집으로 말을 타고 오고 있었다
마부유후:
그 때 장자가 막 미녀 구하의 집 문전에 도착할 때 하인들이 장자가 옴을 보고
가미밀내훔:
놀래어 구하를 빨리 교자에 타기를 최촉(催促)하였으나
그 부모와 동생은 한데 부둥켜 안고 울고만 있었다
밀타이미싱:
長者가 이 광경을 보고 그 부모에게 하는 말이 미안은 하오나
국법이 빚을 갚지 못하면 사람을 데려가기로
이미타비엘니후:
되어 있으니 내가 오늘 부득이 빚 대신 너의 딸 구하를 데려 가기로 한 바이다.
내 오늘 그대들의 이별하는 광경을 보니 차마 할 일이 못되는구나,
내가 일찍이 들은 바 아미타불 부처님이 아득한 옛날
배비힐나후둥치:
불법을 내시고 제도(制度)하실 때 인간은 평등하다 함이
곧 자비로운 불심이라는 말을 들은 바 있거늘
이미싱 쯩질노후:
오늘 이 국법이 하늘이 내신 법이 아니요 다만 사람이 만든 법이라,
어찌 내가 사람이 만든 법을 따르랴,
내가 이 광경을 보기 전에는 美女를 데려다가 애첩을 삼으리라 하였더니
이미실나뚱지둥:
너희들의 이 슬퍼하는 모양을 보니 이 땅에서 행하는 법은
인간을 인간답게 대해주지 않는 법임을 내 이제 깨달았으니
기미오유무이시:
인간 법을 내 오늘처럼 시행하고 보니 잡혀가는 사람이 기쁜 마음으로 와주는 줄만 알았더니
여 – 이이화이:
이렇게 부모형제간에 이별함을 슬퍼하니 내 마음이 불안함을 금하지 못하도다
여히이위이싱:
나 이제 너에게 그 빚을 탕감물시(蕩減勿施)하리니,
그 울음을 그치고 나의 말을 들으라. 내 오늘 깨달아 그대를 위하여
가파후이비:
3千金의 재물을 줄 터이니 그 궁색한 살림의 탈을 벗고
평등한 인간 권리를 찾아 행복함을 바라노라
이일나훔:
말과 아울러 하인을 시켜 그 교자(轎子)를 치우고 빨리 돌아가
3千金의 대금을 가져와서 구하의 남매에게 주며 부모를 잘 섬겨 효도를 다하라 하였다
이일나이사쯔푸:
그 빚진 노부모와 구하 남매는 이것을 의심하여
대금을 받지 않고 반대하여 정신 없이 서서 長者의 얼굴을 쳐다 보았다
너 – 에풔에쮜두우:
장자는 웃는 화려한 얼굴이었다.
아무리 구하가 살펴 보아도 노기(怒氣)를 띤 얼굴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매일내해워:
구하 남매와 그 부모는 엎드려 울음으로 감사한 인사를 하고
대금은 사양하고 빚을 탕감한다는 은혜를 백골이 다하도록 갚기로 맹세하고
캐위니유후:
久河(구하) 왈, 長者님이시여 정말이오니까,
거짓으로 농하시나이까, 진정한 말씀을 들려 주옵소서
내일내햄:
장자는, 염려마오 내 어찌 조롱하리요, 적으나마 이 재물을 받아서
부모님을 정성껏 받들어 安緖(안서)케 하고
여이싱:
또한 인간으로서 詛呪(저주)받는 심정을 버리고 착한 사람이 되어
까까이밀니:
후일 내가 어떠한 불미한 일을 당할 때에
나를 도와주면 그것만이 인간다운 삶일 가하오
이미야야이비일:
구하와 가리타가 무수히 절을 하며 인사를 하였고
그 부모도 또한 엎드려 일어나지 않고 감사하였다
주두유무우:
長者는 迦利陀(가리타)와 久河(구하)를 달래고 또 달래고
부모도 달래여 별반 감사할 것까지 없노라 하고 돌아갔었다.
비리이빌나후: 장자가 돌아간 후 불과 몇 달이 되지 않아서
그 아내 되는 자가 죽고 재처(再妻)될 사람을 택하고 있었다.
가미 – 빌나훈디:
동서 사방으로 구혼을 하였으나, 長者 마음에 만족한 혼처를 찾지 못하고 있을 때
마파여울너성디:
구하(久河)가 그 부모에게서 長者(장자)가 喪妻(상처)하고
사방으로 求婚(구혼)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부모에게 久河가 언급하기를
내가 그 장자의 아내가 되어 보은코져 하오니 부모님은 승락하여 주소서,
그 장자는 후덕하기가 불타님과 같아서
나타이미야훌여힘시:
또한 대 보살님과도 같이 그렇게 인자하시고 대비심(大悲心)을 간직하고 계실 뿐 아니라,
국법이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그 많은 빚을 탕감함과 동시에
싱싱이밀노훈디:
또한 3千金이란 거금의 재물을 우리들에게 주시어
오늘날 우리가 편안한 생활을 하고 있사오니 그 은혜의 만분의 일이라도 갚고자
다타나이밀내후:
제가 그 장자를 받들어서 그 功(공)을 갚고자 하오니
저의 마음에 아마도 불 보살이 인간에 하강하심인가 하나이다
다가라 타미일내훔:
그 자비는 아마도 불심이 아니고는 그와 같은 은혜를 베풀지 않을 가 하옵니다
야 – 부울누후:
그 부모가 언급하기를 久河야, 네가 그런 생각을 내느냐 참 고마운 마음씨로다. 그
러면 이제 내가 장자 宅(댁)에 가서 이 사실을 올려 보아
승락이 有(유)하면 그렇게 시행토록 하리라. 하고 장자 댁으로 찾아 갔다
바타무우숭이시:
대문을 들어선 久河의 父(부)는 하인들에게 주인 장자를 만나게 해주기를 청하니
곧 장자를 만나게 하니, 과연 장자의 형모(形貌)가 불타와 같이 원만하고
다타이밀이훈시디:
또한 겸손하고 친절한 거동이 보살의 행동이 분명해 보였다.
내심으로 내 딸 구하가 불타님과 같이 모셔 보겠다는 말이
태우무우:
너무도 이상하고 전날에 볼 때와는 유달리 보였으니
자연 구하의 아버지는 고개가 수그러져서 공손히 인사를 하고
이태이무:
내방사유(來訪事由)를 언급하니 長者 또한 친절한 말로 답하여 주시니
구하의 아버지가 대단히 고마워 말하기를
태우유시태우무:
長者님의 전일의 그 고마우신 말을 어찌 다하오리까,
장자님께서 불행하게도 喪妻(상처)를 하셨다니 그 얼마나 鬱寂(울적)하시리까,
문안을 늦게 드리오니 罪悚萬萬(죄송만만)이로소이다
무무이일니훔:
왠 그런 말씀을, 나는 소위 長者라는 자가 그까짓 소소한 재물을 고마워할 것 없아오며
내가 喪妻한 것은 부덕한 소치가 아니오리까
차우외신디:
무슨 말씀이요, 장자님께서 부덕하시다니 당치 않은 말씀이외다.
또한 상처하시고 재가하신다는데 어디 적당한 상대 혼처(婚處)가 있는지요
거위일니:
노인께서 이와 같이 걱정하여 주시오니 감사하오며
그러나 참다운 혼처가 어려우며 또한 부덕한 내가 무슨 좋은 상대 혼처를 바랄 수 있으리까
내우애신투:
금일 소인이 장자님께 죄송한 말씀을 여쭐까 하고 있으니
망녕되더라도 과히 허물치 마옵소서
정정대재 미일내:
소인의 가권(家眷)들이 생각하기를 장자님을 하나님과 같이 여기고
또한 불타같이 생각하고 있던 중에
하우무우수:
의외로 마님의 별세하신 소문을 듣고 놀라 이야기 하던 중 소인의 여식이 이 말을 듣고
수기마불느흥:
자원하여 장자님을 받들어 하해 같은 은혜를 만분지 일이라도 갚고자 하기에
미천한 인간이 외람히 이 말을 올려야 하올지
치이월니후:
마음조차 황홀(怳惚)할 뿐 존안을 뵈옵기 부끄럽습니다.
죄송하오나 容恕(용서)하시고 일언하교시(一言下敎示) 받고 물러 갈 가 하나이다
오이이싱유:
감사하옵나이다. 저와 같이 무덕한 사람을 위하여 귀하신 따님을
또한 따님께서 그와 같은 생각을 하시다니 무엇이라 그 감사한 말을 다할 수 없사옵니다
구개미 일나:
이와 같이 저를 위해 말씀 하시오니 감히 반가움에 무슨 이유로 반대하오리까,
그러면 모든 것을 저와 같은 사람을 도와주심을 빌겠으며
貴하신 따님에게 저의 뜻을 전해주소서
위시:
마침내 구하가 장자 댁으로 출가 했으며, 구하가 보살이 되었으며
그 장자는수미루: 수미루(須彌婁) 통천상제(統天上帝)이시며
듭랑쩡 부울너싱티:
통천궁(統天宮)을 覆浪天(복랑천)에 두고 內外界天을 두루 살펴 다스리게 되었으나
아이실내핸디:
그 당시의 수미루 장자가 구하를 맞아들여 부부로서
단락한 가정을 이루고 있으며 항상 장자가 생각하기를
저 – 우물능후:
사람은 반드시 善(선)을 심는 일은 선지결실(善之結實)이요,
惡(악)을 심는 일은 반드시 악의 결실을 맺을 것이오니
天地法理(천지법리)라고 생각하면서 또한 내가 구하와 같은 良妻(양처)를 맺은 것이
내가 악한 국법을 따라 행한다면 이러한 경사스러운 일은 없었으리라고 생각을 하였다.
… (중략)
다타이 미해인두:
내 재산을 분산 구제하리라, 나의 재산은 우리 가친(家親)이 상업으로 모은 재물이니
이 재물을 모을 때 응당 아름답지 못한 일들이 있었으리니
내 이제 선행을 닦아 菩薩行(보살행)을 하리라
저저우모니:
결심을 하고 마침내 願을 세워 불타 앞에 나가 誓願(서원)하고 구제의 길로 나서리니
오성배하우:
구하 부인이여 그대는 나의 뜻을 받들어 내가 생각하는 바
廣救(광구)의 길로 나서리니 願을 같이 함이 어떠하오
고소무루후:
지당하도소이다. 소첩은 가난한 집에 태어나서
오늘날 높으신 몸을 받들어 저의 몸이 榮貴(영귀)하오나
항상 모든 가난한 이의 모습을 떠날 날이 없아오니
가가이미리야훔:
육신이 찢어지고 생명이 다하도록 이 광구대업에는 있는 힘을 다하오리니
낭군님의 그 아름다운 뜻을 정하시옵소서
여우야우 훈듸야후:
구하 부인이여 고맙습니다. 내 이제 그대의 착한 심력을 얻어 큰 뜻을 이루기로
불타님 앞에 나가 서원하고 광구의 길로 나서리니
부인께서도 같이 일어나심이 어떠하오리까
여우야우훈듸야우시:
마음을 결정한 長者와 구하가 불타 前에 나가려 할 때 구하의 부모님에게로 가서
장자가 없는 동안 가정을 잘 돌보아 줄 것을 당부하러 갔었다
비리일나후:
구하 부인의 부모님에게 사실을 말하고 불타 전에 갔다 올 동안
집안을 돌보아 줄 것을 당부하고 떠나기로 하였다.
가무라:
이 때 구하 부인의 동생 가리타(迦利陀)가
또한 장자와 구하 누이를 따라 입산수도를 결정하고 따라 나섰다.
유중화:
세 사람은 불타를 찾아 산중으로 들어갔으니 그 願(원)이 三人이 같이
기미이싱:
가난에서 허덕이는 모든 중생을 위하여 서원을 하고 일심으로 수도를 하였으니
어찌 하늘이 무심하리요… (중략)
푸우이미일나훈지행:
나의 재물을 다 기울인 뒤에 이 국토 저 국토에서의 법을 고치기로 결정하고
이 국토 저 국토를 방문하고
싱생생에이미태:
온갖 說文(설문)으로 법을 說하였으나 몇 개의 국토에서는 법을 고치게 되었으나
온 세상 법을 가난한 이를 생각하는 법은 좀처럼 고칠 수 없었다
이 남만 이일니호운추양:
頑固(완고)한 국왕들에게 도저히 마음을 돌이킬 권능을 가지지 못함을 알고
재차 또한 불타 앞에 나가서 또다시 願을 세우고
가우와일니훔:
일심을 다하여 각(覺)을 열었으니 각기 서원(誓願)이 통달되어 구하가
즉 久河菩薩(구하보살)이요
추무이이신터지:
長者 수미루가 또한 미륵보살(彌勒菩薩)이요, 가리타(迦利陀)가 비사문(毘娑門)신
이니해우:
가난한 이를 구하자, 가난한 이들을 구해 도움을
겨간이캐우: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가난한 이를 구하리라
만다잉물니잉지캐우:
다만 가난에서 굶주리고 병들고 어리석고 바보 같은 순량한 백성을 구하여서
네이이해:
차별 없는 법을 마련하도록 세 사람은 이 국토 저 국토로 전전하여 마침내
매미힐니에훔:
모든 국토의 법을 고치게 되었으니
가난한 자의 빚 값에 사람을 대가로 잡아가지 못하는 법을 전 국토에 시행하였으니
서우와힌:
구하보살(久河菩薩)이 설법하고 또 내가 설법하고
가우와힌:
구하보살이 설법하고 또한 내가 설법하였으니
가우와힌에힌두:
통천하(統天下)에 원을 세운 바가 成佛케 되니라.
이제 내가 수미루 통천상제 대광광불(大廣光佛) 미륵존불(彌勒尊佛)님의 도움을 받아
다이미싱디:
先佛로 오르게 되었으니 진실로 내가 이르노니 미륵보살의 힘이 크게 비쳐 成佛함이요
다타이밀나후:
또한 보살이라 하나 진실로 그 큰 원력(願力)은
成佛한 나와는 도저히 겨눌 수 없는 바이리이다.… (중략)
이상과 같은 비사문신여래불 법설문의 마지막은
복랑천 자라성의 후지국왕(候支國王)의 왕자로 태어나신
미륵 상제님께서는 18세에 正覺을 하여
자신이 수미루 미륵보살임을 알게 되었으니
그 서원(誓願)이 이와 같이 크고 넓어 크나큰 광명이 온
內外界天 모든 국토에 빛이 됨을 찬탄하기를 금치 못하여
그 영광을 가례 하신다는 비사문신여래불의 말씀으로 하여
옥추경 상권 1의 내용은 마치고 있다.
- 본론 - 옥추경(玉樞經) 상권 2 – (라)|작성자 모악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