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경 물형부
현무경 1面(면) 午符(오부) (以詔章 1節)

현무경 1面(면) 午符(오부) (以詔章 1節)
益者三友 損者三友(익자삼우 손자삼우)
其瑞在東(기서재동) 言聽(언청) 神(신) 計用(계용)
己酉正月一日巳時(기유정월일일사시) 玄武經(현무경)
◐ 나에게 이익을 주는 벗도 셋이요 손해를 주는 벗도 셋이다.
그 상서로움이 동쪽에 있다.
사람의 말을 듣고 신명과 더불어 계책을 쓴다.
현무경을 己酉年(기유년=1909년) 정월 일일 사시에 쓰다.
※ 현무(玄武)북방에 있는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일곱 성수를 총칭하는 말이다.
현무경 2面(면) 申符(신부) (以詔章 2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수화금목대시이성(水火金木待時以成) 수생어화(水生於火)
고천하무상극지리(故天下無相克之理) 현무경(玄武經)
◐ 수화목금이 때를 기다려 완성을 이루고 물에서 불이 나오니
그런 까닭으로 천하에 상극이 없는 이치이다.
현무경 3面(면) 戌符(술부) (以詔章 3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3面(면) 戌符(술부)
천지지중앙심야(天地之中央心也)
고동서남북신의어심(故東西南北身依於心)
死無餘恨符(사무여한부)
현무경(玄武經)
◐ 천지의 중앙은 마음이다.
고로 동서남북에 몸을 의지하여 마음이 있다.
이러한 마음먹기에 따라서 죽지 않는 그러한 한이 없는 좋은 부도이다.
현무경 4面(면) 子符(자부) (以詔章 4節)

현무경 4面(면) 子符(자부)
충자욕야(充者慾也)
이악충자성공(以惡充者成功)
이선충자성공(以善充者成功) 현무(玄武)
◐ 충족하는 것은 욕망이다.
악으로 충족하는 자도 성공한다.
선으로 충족하는 자도 성공한다.
현무경 5面(면) 寅符(인부) (以詔章 5節)

현무경 5面(면) 寅符(인부)
동어예자정어예왈도리(動於禮曰者靜於禮曰道理)
정어무례즉무왈도리(靜於無禮則無曰道理)
현무(玄武)
◐ 움직일 때 예로 하는 자는 고요할 때도 예로 하는 것을 도리라 한다.
고요할 때 예가 없으면 왈 도리가 없다고 하는 것이다.
현무경 6面(면) 辰符(진부) (以詔章 6節)

현무경 6面(면) 辰符(진부)
誓者元天地之約有其誓背天地之約則雖元物其物難成
서자원천지지약유기서배천지지약즉수원물기물난성
현무경(玄武經)
◐ 맹세라는 것은 천지에 대한 약속이 가장 으뜸가는 것이다.
그 맹세가 있었다 해도 천지에 대한 약속을 배신 한다면
즉 비록 가장 으뜸가는 일이라도 그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니라.
현무경 9面(면) 消滅陰害符(소멸음해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9面(면) 消滅陰害符(소멸음해부)
소멸음해부(消滅陰害符)
무신납(戊申臘)
◐ 무신납(戊申臘); 모든 巫神(무신)은 소멸시킨다.
그러나 戊神(무신)께는 치성을 올리다.
현무경 11면 未符(미부) (虛無章허무장 3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11면 未符(미부)
◐ 미부의 그림을 보면 필(筆)자의 모양과 구(九)자의 모양이 있다.
그러므로 미부를 가리켜 '필구(筆九)'라고도 하는데,
九(구)자를 보면 새 乙(을)자에 /(일)자가 들어가 10무극을 이루는 이치이다.
현무경 13面(면) 巳符(사부) (虛無章 5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14面(면) 卯符(묘부)

현무경 14面(면) 卯符(묘부)
음양(陰陽)
◐ 후천에는 三常(삼상)이 아니라 음양만 있을 뿐이다.
현무경 15面(면) 丑符(축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15面(면) 丑符(축부)
기초(基礎) 동량(棟樑) 정사부(政事符)
◐ 음양이 기초가 되어 정사를 펴는 기초기둥이 된다.
政事(정사)란
예전에, 벼슬아치의 임명과 해임에 관한 일을 맡아 보는 것을 말하는데
음양이 기초가 되어 후비소(대두목 계신곳)에서
대시 태조 출세제왕 장상 방백 수령 창생을 점고하여
제자리에 앉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 點考(점고); 명부(名簿)에 일일이 점을 찍어 가면서
사람의 수요(需要)를 조사(調査)하는 일을 뜻함.
현무경 18面(면) 心靈神臺(심령신대)

현무경 18面(면) 心靈神臺(심령신대)
심(心)령(靈)신(神)대(臺)
◐ 그 도통은 다른데 있는 것이 아니라 심령심대이었다.
현무경 21面(면) 虛靈符(허령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21面(면) 虛靈符(허령부)
허령부(虛령符) 무이구곡(武夷九曲)
◐ 武夷九曲(무이구곡); 山無水不秀 水無山不淸 曲曲山回轉 峯峯水抱流
(산무수불수 수무산불청 곡곡산회전 봉봉수포류)
산은 물이 없으면 빼어나지 못하고 물은 산이 없으면 맑지 못하네
구비 구비 산이 돌아가고 봉우리마다 물이 감아 도네.
※ 전경에 山君(산군)과 海王(해왕)의 이치를 깨우쳐서
심령과 통하기 까지 아홉 번의 굽이굽이 고비를 넘겨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것이다.
즉 虛靈(허령)아란 나의 元神(원신)인 심령과 통하는 길이다.
모든 것을 다 비워서 통하고 보면 空(공)인 것이다.
※ 주자(朱子)가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 일명 <무이도가(武夷棹歌)>
첫머리에서 읊은 시다.
(溪曲三三水,山環六六峰계곡삼삼수,산환륙륙봉)계곡물은 아홉수를 굽이치고
山(산)은 삼십육 봉을 둘렀다 는 무이산이다.
※ 虛靈(허); 잡된 생각이 없이 마음이 신령(神靈)함.
포착(捕捉)할 수는 없으나 그 영험이 불가사의(不可思議)함.
현무경 22面(면) 智覺符(지각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무경 22面(면) 智覺符(지각부)
지각부(智覺符) 곡구이무(曲九夷武)
◐ 무이구곡을 밝은 지혜로서 깨달아야 한다.
무이구곡을 곡구이무로 쓴 것은 왜 그랬을까?
또 우로부터 읽느냐 좌로부터 읽느냐에 따라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양과 음의 차이다.
정 반대가 될 수 있으므로 깨닫기 위해서는 앞만 보지 말고
옆으로도 보고 뒤로도 뒤집어 봐라.
진리란 내가 생각하는 것에 그 반대 일수도 있다.
현무경 23面(면) 神明符(신명부)

현무경 25面(면) 玉樞統符(옥추통부)

※ 全州(전주)는? 全(전) 宇宙(우주)를 말하는 것이고
銅谷(동곡)은? 銅(동)은 쇠이므로
쇠는 西方(서방) 4 . 9金(금)으로 가을을 뜻하는 것이다.
哥乙(가을)은 큰 새의 노래라는 뜻이고 큰 새를 太乙(태을)이라고 한다.
즉 그 새의 노래는 태을주를 말하는 것으로
그 태을주는 谷(골짜기 곡)에서 흘러나오는데
그 溪谷(계곡)을 격암유록에서는 溪邊(계변) 金城(금성)이라 하였으며
계변금성을 주해하면 시냇가 하얀 城(성)인데 시냇가 하얀집이란 뜻이다.
溪谷(계곡)을 사람으로 말하면 가랑이에 해당되는 곳으로
음양이 합덕 되는 곳을 말하는 것이다.
'자유로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 반짝이는 별을 보거든 (1) | 2024.01.23 |
---|---|
갱정유도(更定儒道) (2) | 2024.01.14 |
2022년 천모님 선서(빛이여 고운 영혼이여) (0) | 2022.01.23 |
해인경(海印經) (0) | 2021.08.22 |
계도선사의 만민해원경 중 근신가 (0) | 2021.06.01 |